목차
청약통장은 국민주택 또는 민영주택에 청약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수 금융상품입니다. 그러나 모든 통장이 현재 가입 가능한 것은 아니며, 종류와 용도에 따라 대상 주택과 자격 조건, 예치금 기준, 납입 방식이 다릅니다. 이 글에서는 청약통장의 개념부터 종류별 차이, 가입 조건, 지역별 예치금, 적립 방법, 구비서류, 활용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청약통장은 정부나 민간이 공급하는 주택을 분양받기 위한 ‘청약 자격’을 부여하는 금융 상품입니다. 일정한 기간 동안 통장을 유지하고, 규정된 납입 횟수나 예치금을 충족하면 1순위 청약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.
또한, 무주택 기간, 납입 기간, 부양가족 수 등은 청약 가점제 점수에 반영되어 당첨 확률을 크게 좌우하게 됩니다. 현재는 청약종합저축만 신규 가입이 가능하며, 청약저축, 청약예금, 청약부금은 기존 가입자만 유지가 가능합니다.
통장 종류 | 가입 가능 여부 | 청약 가능 주택 | 적립 방식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청약종합저축 | 가능 | 국민 + 민영 | 자유적립식 | 현재 유일하게 가입 가능 |
청약저축 | 불가 | 국민주택 | 정액적립식 | 2015년 9월 이전 가입자만 유지 |
청약예금 | 불가 | 민영주택 | 일시 예치 | 면적 기준 예치금 필요 |
청약부금 | 불가 | 민영주택 (85㎡ 이하) | 월부금 | 중소형 주택 전용 |
주택 유형 | 1순위 기준 |
---|---|
국민주택 | 6회 이상 납입 + 가입 6개월 이상 |
민영주택 | 가입 2년 이상 + 24회 이상 납입 |
청약예금과 청약종합저축(민영주택 청약 시 적용)의 예치금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
지역 | 85㎡ 이하 | 102㎡ 이하 | 135㎡ 이하 | 모든 면적 |
---|---|---|---|---|
서울/부산 | 300만 원 | 600만 원 | 1,000만 원 | 1,500만 원 |
기타 광역시 | 250만 원 | 400만 원 | 700만 원 | 1,000만 원 |
기타 시·군 | 200만 원 | 300만 원 | 400만 원 | 500만 원 |
※ 청약종합저축은 자유적립식이므로 예치금액이 누적 충족되면 해당 면적 청약 가능
통장 종류 | 적립 방식 | 납입 범위 |
---|---|---|
청약종합저축 | 자유적립식 | 월 2만 ~ 50만 원 |
청약저축 | 정액적립식 | 월 2만 ~ 10만 원 중 선택 |
청약부금 | 월부금 방식 | 월 5만 ~ 10만 원 |
청약예금 | 일시불 예치 | 면적별 예치금 기준 충족 |
청약통장은 단순한 예금 통장이 아닙니다. 현재는 청약종합저축만 가입 가능하며, 지역별 예치금 기준을 충족하고 꾸준히 납입하면 내 집 마련 기회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. 통장 관리, 청약 조건 파악, 가점 계산까지 전략적으로 접근하세요. 청약홈에서 본인의 청약 가능 여부를 지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